만성 신부전증 투석환자의 1/3은 영양실조를 경험하는데, 영양실조는 면역력을 떨어트리고, 심혈관계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식이요법에 신경써야합니다. 어떻게 관리하면 좋을지 알아볼까요?
만성 신부전증 환자가 식이요법을 해야하는 이유
1) 질병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다
2) 요독 증상을 방지한다
3) 합병증 발생을 방지한다
4) 영양불량을 예방한다
식이요법 방법
영상실조 상태인 투석환자에게는 실제 체중이 아닌 정상인의 체중 기준으로 식이요구량을 기본으로 정합니다.
1) 단백질 섭취
- 혈액투석 환자: 평균 체중 kg당 1.2g의 단백질을 섭취하도록 권장합니다.
- 복막투석 환자: 보통 혈액투석 환자보다 많이 섭취하며, 평균 체중 kg 당 1.3g의 단백질을 섭취합니다.
2) 에너지
60세 미만의 투석환자는 kg 당 30kcal, 60세 이상에서는 kg 당 30~35kg를 권장합니다.
3) 지질
전체 칼로리 중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이 30%이하, 포화지방은 10%가 되는 것이 좋습니다. 기름기가 적은 고기를 섭취하고, 일주일에 두 번은 생선을 섭취하도록 합니다.
4) 탄수화물
밥, 빵, 곡류, 감자, 시리얼, 국수, 파스타에는 탄수화물이 많이 들어있어서 에너지원으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글 홍보전략팀 안미연
참고 국가건강정보포털
'건강한 사람 > 건강한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메프 ifc종합검진센터] 소아암의 종류인 횡문근육종 (0) | 2018.07.24 |
---|---|
[komef ifc건강검진] 설암, 혀에암, 혀가 아파요 (0) | 2018.07.19 |
[komef 한국의료제단] 제형별 복약정보 (0) | 2018.07.04 |
[코메프 ifc건강검진] 평발 원인, 치료 (0) | 2018.06.14 |
[komef 한국의료재단]어린이야뇨증, 소아야뇨증 (0) | 2018.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