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이 뛰는 원리는 심장의 수축과 이완이 반복되는 것인데, 이는 심장 근육 세포에 전기 자극이 가해져야 합니다. 헌데 부정맥은 심장의 전기적 신호에 이상이 생기면서 발생됩니다. 부정맥의 원인과 증상 한번 알아볼까요?
부정맥의 증상과 원인
심장은 항상 뛰고 있지만 정상인들은 잘 느끼지 못하는 것에 비해, 부정맥 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맥박의 이상이 생길 때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을 느낄 수 있습니다. 혹은 덜컹거리는 느낌이나, 가슴 통증 등이 있으며, 어지러움 실신, 피로감, 호흡곤란이 발생할 수 있으며, 나아가 심정지가 발생하게 되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심장이 너무 빨리 뛰는 빈맥이나 너무 느린 서맥의 두 가지가 있으며 대부분 부정맥의 원인은 심장과 혈관계의 질환에 의해 발생합니다. 선천적으로 이상이 있든지, 흡연과 음주, 혹은 심근경색, 고혈압,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정맥의 검사와 진단
이유도 없이 앞서 말한 증상이 반복되는 경우 순환기내과 전문의를 찾아가는 것이 좋습니다. 부정맥의 검사는 심장의 전기적 신호의 이상을 검사하는 심전도, 심장 초음파 등의 검사를 시행합니다.
한국의료재단 IFC종합검진센터의 심장초음파 검사
부정맥의 치료 및 생활습관
부정맥의 치료는 증상이 있고 급사의 가능성이 있는 부정맥에 대하여 치료하게 되는데 약물치료, 인공심박조율기, 전기적 심율동전화, 수술 등의 치료가 있습니다.
부정맥에 음주나 스트레스, 수면 부족은 증상을 악화 시킬 수 있기에 주의해야 합니다. 심혈관을 튼튼하게 하고 심박수를 안정시키는 유산소 운동이 좋은데 걷기, 달리기, 자전거, 수영과 같은 유산소 운동과 요가, 스트레칭 등 근육을 늘려주고 긴장을 완화시키는 운동도 도움이 됩니다.
참고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건강한 사람 > 건강한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료재단 IFC] 장마철 불면증 극복! 숙면 취하기 (0) | 2017.07.26 |
---|---|
[한국의료재단 IFC] 장마철 관절 통증 습요통 무릎통증 극복하기 (0) | 2017.07.21 |
[한국의료재단 IFC] 유전자 검사와 유전 상식 (0) | 2017.06.28 |
[한국의료재단] 사무실 유해공기 공기 청정 (0) | 2017.06.27 |
[한국의료재단 IFC] 생리통 생리주기에 따른 질환 (0) | 2017.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