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식중독 Ⅱ
기획 및 구성 홍보전략팀 안미연
디자인 강경은
참고 국가건강정보포털
2. 식중독의 증상과 진단
구토, 설사, 전신의 열이 가장 대표적이며 신경 마비, 근육 경련, 의식장애 등의 증상을 일으키키도 합니다. 식중독의 증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진단 검사가 필요하지 않지만, 발열과 장염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세균 배양 검사를 하기도 합니다. 급식 시설과 같은 곳에서 집단으로 발생한 경우에는 오염이 의심되는 음식물을 보건소에 신고해야 합니다.
3. 식중독의 치료
- 음식 대신 수분을 보충합니다.
- 식중독은 구토나 설사로 인해 수분이 부족한 상태이므로 포도당, 이온음료를 마시거나, 끓인 물에 설탕이나 소금을 타서 마시면서 수분을 보충합니다.
- 설사가 줄어들면 미음이나 쌀죽 등 기름기가 없는 음식을 먹습니다.
- 독소를 배출해야 하기 때문에 지사제나 항구토제를 함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 혈변, 심한 탈수, 고열, 심한 설사 시에는 병원을 방문합니다.
4. 식중독 예방의 3대 원칙
- 손은 비누로 깨끗이 씻는다
- 물을 끓여 마신다
- 음식은 익혀먹는다
'건강한 사람 > 건강한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법인 한국의료재단 코메프] 원형 탈모 (0) | 2019.07.25 |
---|---|
[의료법인 한국의료재단] 식중독Ⅰ (0) | 2019.07.19 |
[KOMEF 한국의료재단] 탈수 및 전해질 이상 (0) | 2019.07.12 |
[여의도병원 한국의료재단] 인두암에 대해 알아볼까요? (0) | 2019.06.26 |
[한국의료재단 ifc검진센터] 홍역 (0) | 2019.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