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두환자는 매년 약 6천만명으로 추산되는데 이 가운데 90%가 소아연령층에서 발생합니다. 수두는 겨울철에 환자 발생이 급증하고 감염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면역력이 약한 소아연력층에서는 감염에 주의해야 합니다.
수두의 원인
수두는 수두-대상포진(Varicella-zoster)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나타나며, 감염된 사람의 기침, 재채기 등의 분비물이 호흡기로 들어오거나, 수두나 대상포진의 수포액에 직접 접촉하거나 흡입하여 전파될 수 있습니다.
수두의 증상
수두는 발진 발생 2일 내에는 미열과 권태감이 느껴지고 24시간 내에 반점이나 수포 등이 올라오게 됩니다. 수두 바이러스에 노출 후 증상 발현 기간까지는 10-21일로 대개 14-16일 이내에 증상이 나타납니다.
출생 전 임신 때 감염될 수도 있는데, 임신 20주 이내에 수두에 감염되어 태어나는 신생아는 체중이 낮거나, 뇌염, 소두증이나 사지 형성이 저하되는 등 다양한 병변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수두의 진단과 치료
이전에는 전문의가 환자의 몸에 나타난 증상으로 진단했으나, 최근에는 수두 발생률이 줄어들고 예방접종 후 감염된 수두 증상이 전형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아 혈액검사, 수포에서 나온 액 , 특이 lgM 항체 검출 등의 검사를 시행하여 진단합니다.
수두의 치료는 전문의와 상의 후 내복약 투여와 로션 도포 등의 대증요법이 활용됩니다.
수두의 예방
수두는 생후 12~15개월 사이에 접종하며, 예방접종으로 7~90%까지 예방할 수 있습니다. 만 13세 미만의 경우 1회 접종하며, 만 13세 이상의 경우에는 4~8주 간격으로 2회 접종합니다.
수두 바이러스는 환자의 분비물이나 수포액으로 전염되므로 수두를 앓고 있는 환자는 격리시키는데, 특히 면역력이 약한 소아연령층이 밀집해있는 어린이집이나 초등학교에는 등교시키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작성 홍보전략팀 안미연(언론학 석사)
참고 질병관리본부
'건강한 사람 > 건강한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메프 ifc건강검진] 카페인 부작용과 중독, 금단 증상 (0) | 2017.12.26 |
---|---|
[komef 한국의료재단] 한국 성인 비만, 고혈압 통계 (0) | 2017.12.19 |
[코메프 한국의료재단] 겨울 제철 음식 (0) | 2017.12.12 |
[komef 한국의료재단] 월요병 극복 방법 (0) | 2017.11.24 |
[코메프 한국의료재단] 질출혈 부정출혈 무슨 질환일까? (0) | 2017.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