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온다습한 무더위가 지속되는 가운데, 즐겁게 떠난 휴가에서 야외활동을 하다 보면 일사병이나 열사병 같은 온열질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데요 심하면 사망에까지 이르게 되는 일사병과 열사병을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일사병 vs 열사병 뭐가 다를까?
우리가 흔히 ‘더위 먹었다’고 말하는 일사병은 태양의 직사광선을 오래 받고 더운 공기에 계속 노출 되었을 때 수분이 부족하고 신체가 체온을 제대로 내리지 못해 생기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은 37-40℃ 사이의 고열과 탈수, 무기력, 현기증, 두통 등으로 나타납니다.
열사병은 집중호우와 폭염 등의 고온다습한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 돼 신체가 열을 방출하지 못해 체온을 내리지 못할때 생기는 질환이며, 증상의 초기에는 불안감이나 신경질적인 행동이 나타나기도 하고 가장 큰 증상은 심한 고열(41℃ 이상)이 생기고 발작이나 혼수상태 등의 증상을 동반합니다. 중추신경계에 손상이 올 수 도 있습니다.
일사병을 방치하면 목숨을 위협하는 열사병으로 발전하게 되므로 제때에 응급 처치를 해야 합니다. 두꺼운 옷은 벗기고 벨트나 꽉 끼는 소품은 제거하는 것이 좋고 시원하게 적신 수건이나 찬물로 열을 식혀야 합니다.
일사병과 열사병을 예방하려면?
최근 들어 핸드폰으로 폭염주의보 경보 받으신 적 있으시죠? 이런 폭염주의보 경보가 발령되면 안내한 시간에는 야외활동을 줄이도록 하고, 폭염주의보 경보가 발령하지 않더라도 한여름에는 12~17시 사이에는 야외활동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불가피하게 야외 활동을 해야한다면 챙 넓은 모자, 통풍이 잘 되고 헐렁한 옷을 입어 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을 15분 간격으로 섭취
일사병은 더운 날 수분이 부족할 때 생기는 질환이므로, 활동을 할 때 갈증을 느끼지 않더라도 15분 마다 규칙적으로 물을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단, 음주와 커피는 수분을 흡수하므로 피하도록 하며 특히 뇌졸중, 심혈관 질환 등이 있는 환자는 특히 유의해야 합니다.
'건강한 사람 > 건강한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료재단 IFC] 변비를 극복하는 습관 (0) | 2017.07.31 |
---|---|
[한국의료재단 IFC] 여름 제철 과일 성분 알고 먹자 (0) | 2017.07.28 |
[한국의료재단 IFC] 장마철 불면증 극복! 숙면 취하기 (0) | 2017.07.26 |
[한국의료재단 IFC] 장마철 관절 통증 습요통 무릎통증 극복하기 (0) | 2017.07.21 |
[IFC 종합검진센터] 부정맥 증상과 치료, 심장초음파 검사 (0) | 2017.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