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대표적인 성인병 중의 하나인 당뇨병은 운동부족, 풍부한 먹거리를 원인으로 하기에 과거 부자병으로 불렸었습니다. 사회 전반적으로 경제적 여건이 나아지면서 먹거리, 바쁜 일과에 의한 운동부족이나 스트레스, 유전 등 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당뇨병 인구가 늘고 있습니다. 2010년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약 350만 명 정도가 당뇨병 환자로 추정되지만 이중 절반 이상은 자신이 당뇨병인지 모르고 지낸다고 합니다.
당뇨병은 포도당이 소변으로 배출되는 것
우리가 먹는 음식물 대부분인 탄수화물의 기본 구성성분은 포도당으로, 탄수화물은 위장에서 소화효소에 의해 포도당으로 변환돼 혈액으로 흡수되고 포도당이 우리 몸의 세포들에 전달되기 위해서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헌데 인슐린 분비가 잘 되지 않으면 체내에 흡수된 포도당이 혈액 속에 과도하게 쌓여 소변으로 배출되며 이런 병증을 '당뇨병' 이라고 합니다.
호르몬과 밀접한 영향
당뇨병의 발병 원인은 현재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유전적 요인이 가장 큰 것으로 추정됩니다. 만약 부모 모두 당뇨병인 경우 자녀가 이병에 걸릴 가능성은 30% 정도이고 어느 한쪽인 경우는 15% 정도입니다. 그러나 유전적 요인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당뇨병 환자가 되는 것은 아니며 유전적인 요인과 함께 여러가지 환경적 요인으로 발병하게 됩니다.
환경적 요인 중 대표적으로 꼽히는 것이 비만입니다. 비만인 경우 당뇨병을 반드시 의심해봐야 할 정도로 비만과 당뇨병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비만상태가 지속되면 인슐린 요구량이 증가하고 결국 췌장의 인슐린 분비기능을 떨어뜨려 당뇨병이 생깁니다.
또 운동부족은 비만을 초래하고 근육 약화, 저항력 저하를 불러 고혈압, 동맥경화 등 성인병으로 이어지며 우리 몸에 오래 축적된 스트레스는 부신피질 호르몬의 분비를 증가시키고 저항력을 떨어뜨려 각종 질병이 유발되는 연쇄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발병률이 높은데 그 이유는 임신이라는 호르몬 환경의 변화 때문입니다. 이는 당뇨병과 직접 관련이 있는 인슐린과 글루카곤 호르몬에 이상이 생기면 즉각적으로 당뇨병이 유발되며 뇌하수체나 갑상선, 부신호르몬과 같은 간접적인 관련인자도 당뇨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쉽게 알 수 있는 당뇨병 증상
혈당이 높아지면 소변으로 당이 빠져나가면서 포도당이 다량의 물을 끌고 나가기 때문에 소변이 잦아집니다. 이렇게 되면 신체에 수분이 모자라 갈증을 느껴 물을 많이 마시게 되며, 섭취한 영양소가 소변으로 빠져나가 공복감이 심해져 과도한 섭취를 유발하게 됩니다.
이렇게 당뇨병은 일반적으로 다음(多飮), 다식(多食), 다뇨(多尿)의 증상으로 알 수 있지만 특별한 증상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당뇨병 자가 진단
∨ 40세 이상으로 비만 체형인 사람
∨ 부모 또는 가까운 친척 중에서 당뇨병이 있는 사람
∨ 갈증, 다음, 다뇨, 다식, 피로감, 체중감소 등의 자각증상이 있는 사람
∨ 고혈압, 췌장염, 내분비 질환, 담석증 등 당뇨병이 합병되기 쉬운 질환이 있는 사람
∨ 다이아자이드 계 혈압 강하제, 신경통에 쓰이는 부신피질 호르몬 인 스테로이드 제품 등 당뇨병 발병을 촉진하는 약물을 장기간 복용하는 사람
위 경우 요당검사 결과 양성이 나오면 혈당검사를 진행하게 되는데 혈당치의 기준은 공복 혈당치 126 mg/dL 이상, 식후 2시간 혈당치 200 mg/dL 이상일 때와 지난 2~3개월간의 혈당 평균을 알아보는 당화혈색소 검사에서 6.5% 이상이면 당뇨병으로 진단합니다.
'건강한 사람 > 건강한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 관리와 식이요법 (0) | 2016.06.10 |
---|---|
모바일 헬스케어의 시작 ‘헤셀’ (0) | 2016.06.09 |
한국의료재단과 알아보는 임신초기, 괴로운 입덧 극복하기 (0) | 2016.05.24 |
자외선에 괴로운 피부 관리하기 (0) | 2016.05.23 |
한국의료재단과 알아보는 연령별 운동법 (0) | 2016.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