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째 폭염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뜨거운 바깥 날씨와는 다르게 사무실이나 대중교통, 식당 등의 공공장소에서는 추울 정도로 에어컨을 가동하고 있는데요. 에어컨을 가동하는 장소에 오랜 시간 머물다 보면 몸이 나른하고 머리가 아프고 집중이 되지 않아 업무 능률이 떨어지는 경험이 있으셨을 겁니다. 심하면 기침과 콧물이 나는 감기 증상을 보이는데 흔히, 냉방병 또는 냉방증후군이라는 것입니다.
급격한 실내외 온도차, ‘레지오날레균’이 원인
냉방병의 가장 큰 원인은 급격한 실내외 온도차입니다. 인체는 평균 36.5℃로 자동적으로 체온을 유지합니다. 그런데, 과도한 냉방으로 체온이 지나치게 떨어져 체온 조절에 실패, 신진대사의 균형이 깨지고 혈액순환의 장애가 생겨 몸에 이상이 오는 것입니다.
다음으로는 ‘레지오날레균’ 때문인데 에어컨에 연결된 수로에서 자라난 균이 인체에 침입하면서 발병합니다. 특히, 면역력이 떨어졌거나 성인병 환자 또는 노약자들에게 취약하며 초기에는 기침, 몸살, 두통 등 감기 증상으로 시작해 심하면 폐렴으로 발전할 수도 있습니다.
감기보다 오래가는 냉방병
냉방병의 증상은 다양한데 감기 증상이 잘 낫지 않으며, 목이 답답하거나 가래가 낀 느낌을 받기도 합니다. 또, 쉽게 피로해지고 어지럼증, 두통이 나타나며 어깨, 팔다리가 무겁고 허리가 아픈가 하면 한기를 느끼기도 합니다. 현기증이 있거나 온몸이 나른해지는 것은 온도차가 심한 실내외를 오가면서 체온을 조절하는 자율신경의 기능이 흐트러져 혈압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해서 생기는 증상입니다.
특히, 허리나 어깨가 뻐근하고 결리는 것은 몸이 차가워지면서 체내의 혈액 순환이 정체되어 일어나는 증상인데 냉방기 앞에서 춥다고 몸을 웅크리거나 같은 자세로 오래 일할 경우 더 심해집니다.
소화불량과 하복부 불쾌감, 설사 등의 위장장애도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따뜻한 물이나 보리차에 설탕을 첨가해 에너지를 보충해주고 배뿐 아니라 허리나 다리도 따뜻하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실내외 온도차 5℃ 안팎으로 유지
실내외 온도차를 5℃ 안팎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은데, 중앙냉방 때문에 온도차를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는 자주 산책을 하여 외부 공기를 쐬고, 가벼운 스트레칭을 시간 마다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찬 공기에 굳어진 근육을 풀어주어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찬바람을 직접 쐬지 않도록 긴 소매 겉옷을 걸치는 것이 좋으며, 비타민과 수분이 풍부한 당근, 시금치 등의 녹황색 채소나 토마토, 키위 등의 과일을 많이 먹고, 따뜻한 물이나 차를 자주 마셔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야 합니다.
냉면이나 아이스커피 등의 차가운 음식을 자주 먹게 되면 소화 기능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체온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따뜻한 음식을 먹고, 음료수도 실온에 둔 것을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면역력이 떨어질수록 냉방병에 취약하므로 꾸준히 운동하고 잠을 충분히 자서 면역력을 증강시켜야 합니다.
글 에이빙 뉴스 김기홍 기자
참고 건강보험공단
'건강한 사람 > 건강한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력 좋아지고 싶다면 치실을 사용하라 (0) | 2016.07.27 |
---|---|
열대야, 수면장애 주범 (0) | 2016.07.23 |
여름철 물놀이 감염성 질환(질병) (0) | 2016.07.11 |
고혈압, 여름도 조심하라! (0) | 2016.07.04 |
이유없이 피곤하거나 소화장애가 생긴다면, 자율신경 실조증 의심 (0) | 2016.06.17 |